분류 | 연월일 | 기사제목 | 세부 내용 | 주최,장소,기타 | 출전 |
---|---|---|---|---|---|
비평 | 40.01.01 | 健實한 길로 | 박경호 | - | 매신 |
비평 | 40.01.05 | 戰爭과 音樂(上) | 金官 | - | 매신 |
비평 | 40.01.06 | 戰爭과 音樂(下) | 金官 | - | 매신 |
비평 | 40.01.07 | 時局과 音樂 | 李鍾泰 | - | 매신 |
비평 | 40.01.10 | 音樂家로서 優秀한 天質 | 田邊尙雄 | - | 매신 |
비평 | 40.02.09 | 啓蒙期의朝鮮音樂 大衆과 親近이 必要 | 金官 | - | 매신 |
비평 | 40.03.14 | 難物인 音樂 | 蔡萬植 | - | 매신 |
비평 | 40.04.03 | 조선소리 지상 강좌 '오음'이란 무엇인가 평조․우조․계면조 이야기(1) | 김석구, 궁상각치우, 금목수화토, 유가 | 김석구, | 조선 |
비평 | 40.04.05 | 조선소리 지상강좌(2) "창극조"의 다섯 장단 북구레 치는 법도 가지가지(2) | 김석구, 계면조,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엇모리, 자진모리 | 김석구, | 조선 |
비평 | 40.04.07 | 조선소리 지상강좌(3) "어단성"의 모리 표정과 동작도 익숙할 것(3) | 김석구, 엇모리장단 | 김석구, | 조선 |
비평 | 40.04.09 | 조선소리 지상강좌 '창에따라 '가사'도 똑똑히 알고 불러야 된다(완)' | 김석구, 저음, 「춘향가」, 「심청가」 | 김석구, | 조선 |
비평 | 40.04.10 | 古典的인 歌曲 | 그 改作問題에 關하야, 金水鄕 | 金水鄕 | 매신 |
비평 | 40.04.16 | 樂語統一問題 | 專門委員會 設置, 金水鄕 | 金水鄕 | 매신 |
비평 | 40.05.02 | 背景과 人物 | 하-모니를 차즈라, 金水鄕 | 金水鄕 | 매신 |
비평 | 40.05.10 | 流行歌 一題 | 雙手Q氏에게 一言,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05.14 | 音樂會와 花環 | 墜落된 舞臺風俗, 金水鄕 | 金水鄕 | 매신 |
비평 | 40.05.18 | 和蘭의 자랑 | 콘첼트게-보樂團, 金水鄕 | 金水鄕 | 매신 |
비평 | 40.05.20 | 映畵와 音樂 | 音樂監督 待望論,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05.21 | 貰房사리 樂團 | 봄 씨-즌 樂界의 不振, 耳豪 | 耳豪 | 매신 |
비평 | 40.06.10 | 府民館의 權威 | 公演物을 精選하라, 金水鄕 | 金水鄕 | 매신 |
비평 | 40.06.17 | 樂曲의 知識 | 映畵作者의 必須課, 安夕影 | 安夕影 | 매신 |
비평 | 40.07.07 | 新東亞 音樂의 建設 | 大東洋的 理想을 表現하야, 桂貞植 | 桂貞植 | 매신 |
비평 | 40.07.07 | 東亞의 新情勢와 音樂文化의 再出發 |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07.07 | 支那事變과 音樂 | 洪蘭坡 | 洪蘭坡 | 매신 |
비평 | 40.09.01 | 朝鮮映畵와 音樂 | 森川 潤(舊名 洪蘭坡) | 洪蘭坡 | 매신 |
비평 | 40.09.21 | 國歌의 新體制와 新音樂의 建設(1) |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09.23 | 國歌의 新體制와 新音樂의 建設(2) |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09.24 | 國歌의 新體制와 新音樂의 建設(3) |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11.06 | 기타-의 音樂的 地位 | 정세원군 기타라 독주회를 압두고, 홍난파 | 홍난파 | 매신 |
비평 | 40.12.15 | 朝鮮樂團의 諸問題 | 東洋音樂學敎 李成三 | 李成三 | 매신 |
비평 | 40.12.17 | 樂壇의 臣道實踐 | 協會結成 압두고 今夜 大座談會 | - | 매신 |
비평 | 40.12.19 | 音樂劃期의 年(一) |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12.20 | 音樂劃期의 年(二) |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12.21 | 音樂劃期의 年(三) |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12.23 | 音樂劃期의 年(四) | 金官 | 金官 | 매신 |
비평 | 40.12.24 | 音樂劃期의 年(五) | 金官 | 金官 | 매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