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컬처링라이브러리
창작컨설팅
테그스토리
통합검색
통합검색
주제별
시대별
멀티미디어
자동완성 닫기
자동완성 열기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주제별 문화원형
시대별 문화원형
교과서별 문화원형
멀티미디어별 문화원형
유네스코 등재 콘텐츠
문화원형 활용사례
방송 / 영화
게임 / 캐릭터 / 디자인
전시
교육 / 공공
문화원형 스토리
문화원형이란?
문화원형의 이행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사업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개발연혁
문화콘텐츠닷컴 소개
문화콘텐츠닷컴 소개
공지사항
홍보갤러리
이벤트
홈페이지 안내
이용 및 저작권 안내
도움말
온라인문의센터
뷰어 다운로드
TOP
내가 본 콘텐츠
문화원형 용어사전
도움말
온라인 문의센터
정치·경제·생업
종교·신앙
인물
문학
의·식·주
회화
미술·공예
음악
군사·외교
교통·통신·지리
과학기술·의약
천문·풍수
의례·놀이·연회
문화·기타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주제별 문화원형
시대별 문화원형
교과서에 나온 문화원형
멀티미디어별 문화원형
유네스코 등재 콘텐츠
정치/경제/생업
종교/신앙
인물
문학
의/식/주
회화
미술/공예
음악
군사/외교
교통/통신/지리
과학기술/의약
천문/풍수
의례/놀이/연회
문화/기타
조선악극단 이야기
오케레코드와 조선악극단
디지털 고려가요
전통악보 저작도구개발
한국 근대음악 이야기
아리랑이야기
백두대간 소리여행
판소리 다섯마당
국악장단샘플
악학궤범이야기
전통국악 창작콘텐츠
종묘제례악 이야기
전통국악기 샘플데이터
산조이야기
한국 근대음악 이야기 다운로드 콘텐츠
이미지
다운로드 콘텐츠 보기
이미지 (838)
일러스트 (22)
포토 (816)
동영상 (11)
VOD(동영상) (5)
Flash Animation (6)
텍스트 (222)
번역서 (6)
해설/분석서 (196)
실화/기록서 (18)
창작/소설 (2)
총
838
개의 이미지 멀티미디어가 있습니다.
자세히보기
경성제일고등공...
자세히보기
경성시가 전경
자세히보기
조선박람회장에...
자세히보기
줄타기(새미놀이...
자세히보기
주악
자세히보기
무동놀이(2무동...
자세히보기
무동놀이(4무동...
자세히보기
조선성악연구회...
자세히보기
광무대
자세히보기
협률사
자세히보기
문묘 석전제
자세히보기
문묘 석전제 사...
자세히보기
문묘 석전제 사...
자세히보기
아악연주
자세히보기
실내악연주
자세히보기
문묘제례악에 사...
자세히보기
회갑연에 연주하...
자세히보기
아악
자세히보기
무녀의 춤
자세히보기
가면놀이
first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
다운로드 콘텐츠
(1,071)
이미지 (838)
일러스트 (22)
포토 (816)
동영상 (11)
VOD(동영상) (5)
Flash Animation (6)
텍스트 (222)
번역서 (6)
해설/분석서 (196)
실화/기록서 (18)
창작/소설 (2)
한국 근대음악 이야기
연관목차
문화원형 개요
용도별 근대음악
벨소리용 자료
게임배경 자료
CF/광고 자료
드라마 OST
연령별 근대음악
10대 취향
20대 취향
30대 취향
40대이후 취향
내용별 근대음악
한국근대음악소개
전통음악 종류와 근대 전개
학교음악의 전개
악대의 근대전개
교회음악의 근대전개
대중가요/예술음악의 전개
독립가/시국가의 전개
음악가의 생애와 예술
종교/예술음악
전통공연장/신공연장 변천과 분포
작품목록
음악작품목록
작곡가별주요작품목록
대중음악작품목록
독립가곡명목록
성악합창작품목록
시국가주제명목록
일본가곡작품목록
음악일지
국악일지
비평일지
음악가일지
음악가일
양악일지
연주일지
작품일지
연주회장
기타일지
음악기사
유 전,「음악의 효능」, 『대한흥학보』, 4월호, 총2호, 동경: 대한흥학회, 1909, 27-29쪽.
홍종인,「용강민요 삼십수」, 『개벽』, 4월호, 총34호, 경성: 개벽사, 1923, 84-88쪽.
일기자(一記者), 「경성의 화류계」, 『개벽』, 6월호, 제48호(5권6호), 경성: 개벽사, 1924, 95-100쪽.
윤극영,「현하의 악단을 돌아보면서」, 『개벽』, 1월호, 총65호(7권1호), 경성: 개벽사, 1926, 71-78쪽.
안자산,「조선의 아악」, 『별건곤』, 제12·13호(3권2호), 경성: 별건곤사, 1928.5, 151-153쪽.
관악산인,「윤○덕의 넉두리」, 『별건곤』, 6월호, 제21호(4권4호), 경성: 별건곤사, 1929, 114-117쪽.
박경희,「음악광시대」, 『별건곤』, 6월호, 제21호,(1권4호), 경성: 별건곤사, 1929, 33-34쪽.
안자산,「조선악과 구자국악」, 『불교』, 10월호, 총64호(6권10호), 1929, 32-35쪽.
경성(京城) 라듸오」, 『별건곤』, 3월호, 경성: 별건곤사, 1929, 154-156쪽.
안자산,「조선음악과 불교」, 『불교』, 2월호, 총68호(7권2호), 경성: 불교사, 1930, 27-32쪽.
안재홍,「유행추수는 결국 불가」, 『학생』, 4월호, 총13호(1권4호), 경성: 개벽사, 1930, 36-39쪽.
이하윤,「유행가의 건실화」, 『학생』, 4월호, 총13호(1권4호), 경성: 개벽사, 1930, 37-38쪽.
정홍교,「가곡에 대한 세 조건」, 『학생』, 4월호, 총13호(2권4호), 경성: 개벽사, 1930, 39쪽.
양우정,「민요소고」, 『음악과 시』, 8월호, 창간호(1권1호), 경성: 음악과시사, 1930, 8-9쪽.
신고송,「음악과 대중」, 『음악과 시』, 8월호, 창간호(1권1호), 경성: 음악과시사, 1930, 21-23쪽.
이주홍,「음악운동의 임무와 실제」,『음악과 시』, 8월호, 창간호(1권1호), 경성: 음악과시사, 1930, 24-25쪽.
홍난파,「중앙 악단의 가을씨슨」,『동광』, 1월호, 제17호, 경성: 동광사, 1931, 83-84쪽.
안기영,「조선민요의 그 악보화」,『동광』, 5월호, 제21호, 경성: 동광사, 1931, 66-68쪽.
홍종인,「반도악단인 만평」, 『동광』, 6월호, 제22호, 경성: 동광사, 1931, 36-66쪽.
권태호,「악단잡감」, 『동광』, 10월호, 통권26호, 경성: 동광사, 1931, 71-73쪽.
홍종인,「31년의 조선악단 회고」,『동광』, 12월호, 제28호(3권122호), 경성: 동광사, 1931, 23-26쪽.
홍난파,「음악과 계급의식」(1),『동아일보』, 1931년 1월 29일자 4면.
홍난파,「음악과 계급의식」(2),『동아일보』, 1931년 1월 30일자 4면.
신고송,「음악의 계급의식에 대하여-홍난파씨의 논을 반박함」(상),『동아일보』, 1931년 3월 12일자, 4면.
신고송,「음악의 계급의식에 대하여-홍난파씨의 논을 반박함」(하),『동아일보』, 1931년 3월 13일자, 4면.
홍난파,「음악의 계급의식에 대하여-신고송씨의 반박에 답함」(1),『동아일보』, 1931년 3월 17일자, 4면.
홍난파,「음악의 계급의식에 대하여-신고송씨의 반박에 답함」(2),『동아일보』, 1931년 3월 19일자, 4면.
구왕삼,「민요합창곡집」,『조선일보』, 1931년 8월 10일자.
최영환,「조선민요론」,『동광』, 5월호, 제39호,, 경성: 동광사, 1932, 82-89쪽.
이병기,「시조의 발생과 가곡과의 구분」,『진단학보』, 11월호, 1권1호, 경성: 진단학회, 1934, 119-144쪽.
김관,「음악비평과 연주자」,『조선문단』, 4월호, 4권2호, 경성: 조선문단사, 1935, 137-141쪽.
송석하,「처용무, 나례, 산대극의 관계를 논함」,『진단학보??, 4월호, 제2권1호, 경성:진단학회, 1935, 87-114쪽.
김관,「음악비평과 연주자」,『조선문단』, 5월호, 4권3호, 경성: 조선문단사, 1935, 137-141쪽.
호암(湖岩),「오영(五營) 중에 독존(獨存)한 금위영(禁衛營)」, 『조선일보』, 1935년 7월 24일자.
함화진,「조선음악론」,『조광』12월호, 제14호(2권12호), 경성: 조광사, 1936, 138-147쪽.
한성준,「고수오십년」,『조광』제18호, 4월호, 3권4호, 경성: 조광사, 1937, 127-134쪽.
백화랑,「업서진 민속 사당패」, 『조광』, 제2권 제8호, 경성:조광사, 1936, 171-175쪽.
조풍생(嘲風生),「유행가의 정화」, 『조선일보』, 1937년 4월 6일자.
계정식, 「아악공개연주회를듣고」, 『조광』, 12월호, 제38호(4권12호), 경성: 조광사, 1938, 215-217쪽.
「조선무용의 새 진로-“나는 어째 조선무용을 추는가” 무용가 조 씨의 포부」, 『동아일보』1938년 11월 23일자, 3면.
조윤제, 「시조의 본령」, 『인문평론』3월호, 경성: 인문사, 1940, 18-34쪽.
이동백·한성준, 「가무의제문제」, 『춘추』3월호, 제2권2호, 경성: 조선춘추사, 1941., 147-153쪽.
함화진, 「학교신설을건의함-삼백만원만 있으면 조선음악도 살려갈 수 있다」, 『춘추』, 4월호, 제2권3호, 1941, 경성: 조선춘추사, 127-129쪽.
고위민, 「조선민요의분류」, 『춘추』, 4월호, 제2권3호, 경성: 조선춘추사, 1941, 180-188쪽.
김사엽, 「농민과 민요」, 『춘추』, 4월호, 제66호, 제7권4호, 경성: 조선춘추사, 1941, 162-171쪽.
김계선, 「나와대금」, 『조광』, 66호, 7권4호, 경성: 조광사, 1941, 258-261쪽.
「악단 신체제운동 음악협회 발기인회」, 『매일신보』, 1941년 1월 12일자, 석간, 2면.
김재훈,「총후엔 건전한 음악, 지나사변일을 맞으면서」(上), 『매일신보』, 1941년 7월 2일자, 조간, 4면.
박용구, 「음악계의 파행성-악계의 일년」, 『춘추』, 제12월호, 경성: 조선춘추사, 1942., 136-138쪽.
계정식,「후생실내악단 제2회 공연평」, 『매일신보』, 1942년 12월 31일자.
함화진,「반도음악소사」, 『반도사화와 낙토만주』, 신경: 만선학해사, 1943, 350-355쪽.
평간문수,「김천애 독창회」, 『매일신보』, 1943년 4월 6일자(화), 조간, 2면.
박용구,「연주소론」①, 『매일신보』, 1945년 3월 17일자, 2면.
공연재현